DDR5의 영향과 수혜기업

DDR5의 영향과 수혜기업

 

2021 DDR5 전환 시작
CPU
와 메인보드의 개발 지연으로 늦은 전환 속도
DRAM
업체와 후공정 업체의 수혜 예상


DDR이란?

n  DDR(Double Data Rate) RAM의 일종으로 기존 SDR 대비 입출력 통로가 2배 증가해 데이터 처리 속도 역시 2배가량 빠른 RAM을 말함

n  DDR 뒤의 숫자는 세대수를 말함 DDR3 3세대 DDR4 4 세대임

n  DDR 일반 PC 서버 등에 들어가며, LPDDR 모바일, GDDR 그래픽 카드 메모리로 사용

n  동일 세대 안에서도 성능이 다름 현재 DDR4 꾸준히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이상 발전이 어려워져 DDR5 전환이 필요한 상황임

n  세대수는 4~5 주기로 바뀌며 메모리 속도 소비 전력 등의 변화가 생김

 

 DDR5 표준규격 확정

n  20.07.14 JEDEC(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 PC와 서버용 DDR5 규격을 발표로 DDR5 제품 양산이 가능해짐(CPU와 호환필요)

n  2020년 스마트폰탑재, 2021년 서버와 PC 탑재

n  2022 DDR5 비중이 DDR4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

n  DDR5를 지원하는 CPU와 메인보드 필요

 

DDR4 vs DDR5

 


1)     성능개선
대역폭과 입출력 속도로 작업속도 상승,
지원용량 증가로 동시 작업능력 증가

2)     전력량 감소(1.2V 1.1V)
대용량반도체가 24시간 가동하는 서버시장에서 10%의 에너지비용절감은 기존 DDR4를 교체 사유가 충분하여 교체수요 및 신규수요 예상

스마트폰 노트북등 포터블 전자기기의 배터리 시간 증가

3)     P의 상승

DDR4 대비 10-15% 칩 사이즈가 커져 동일 Capa 대비 공급 감소

DDR3DDR4변환시 50% 가격 프리미엄 형성, 금번에도 DRAM업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이익률 향상 예상

4)     후공정 장비/부품/기판 업체들의 수혜

기존의 DDR4 제조용 라인을 전환하여 DDR5 라인으로 만들기 때문에 전공정에서는 Cell회로 설계 변화가 있으나 제조하는 공정에서 변화는 거의 없을 것

그러나 후공정에서는 DDR5 전환 시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동작 전압 변경으로 공정 Recipe 및 장비/부품 관련 업체들의 실적 개선 예상

 

DDR5 전환 전망

DDR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CPU/칩셋 및 메인보드가 필요, 인텔과 AMD개발 중

인텔(Alder Lake late 2021 or early 2022 출시), AMD(2022년 내 출시)

이런 이유로 SK하이닉스는 DRAM전체에서 DDR5비중을 202125%, 2244% 전망

실제로 DDR4전환 첫해인 2014년 전환률 3% 불과


 

주요 수혜 기업

제품

업체

시가총액

(십억원)

기타

DDR5 메이커

삼성전자

343,262

 

SK하이닉스

58,677

 

테스트 장비

유니테스트

332

DDR4 대장주

엑시콘

111

삼성전자 독점 납품, SSD테스터

테크윙

 

 

테스트 소켓

ISC

295

비메모리 제조기업이 고객처

실린콘러버 타입 소켓 사용증가 기대

오킨스전자

 

 

마이크로컨텍솔

 

 

리노공업

 

 

수동부품

삼성전기

 

 

아비코전자

 

DDR5에 추가되는 PMIC

Subs. PCB

메모리모듈

심텍

613

 

대덕전자

 

 

해성디에스

 

 

코리아써키트

 

 

제너셈

 

 

 

1)DRAM 제조기업

삼성전자(2019 MS 45.7%), SK하이닉스(28.7%), 마이크론(20.5%)

D램을 설계부터 제조와 성능평가 대부분을 직접 담당함으로 수혜가 기대 그러나 시가총액이 크고 종합반도체 업체인 만큼 DDR5로 인한 주가 변동은 스몰캡 대비 상대적으로 적을 것

중국의 반도체 굴기로 추격중, 현재 DDR4 8GB 2400MHz 칭화유니 제품이 시중에 판매중(2666MHzSK하이닉스 모듈을 구매 조립, 수율부족으로 보임)

 

2)테스트 장비 기업

테스트 방식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칩의 구조와 사양, 성능이 달라지므로 테스트를 위한 접촉 방식, 테스트장비의 작동 방식, 칩의 분류 기능 등에 변화가 필요. 현재 반도체 세트업체들이 사용 중인 D램 테스트장비는 DDR4에 맞추어 설계된 제품들입니다. DDR5가 도입되면 DDR5에 맞는 테스트장비와 테스트를 원활히 수행해줄 테스트핸들러를 추가로 필요로 하게 됨

테스트장비마다 테스트가 가능한 최고 속도가 존재 DDR5의 경우 6400Mbps로 예상되니 각 업체의 설비가 이를 만족하는지 확인 필요

DDR4테스터는 DDR3테스터를 업그레이드하여 사용가능 했지만 DDR5용 장비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환시 더 큰 수혜 예상

유니테스트: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을 고객사로 두고있음 낸드,비메모리 테스트장비 영위

 


글로벌업체로는 어드반테스트, 테라다인이 있으나 국산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음

 

3)검사 소켓 기업

IC 소켓의 경우 마모로인해 제품 수명이 1~3년으로 지속적으로 교체가 발생하는 소모부품

테스트 소켓업체들은 신규제품이 개발되면 개발비를 고려해 당해에는 P가 상승하나 그 이후로는 가격이 하락 할 수 밖에 없는 구조

신규 규격이 확정되고 해가 지날수록 실적과 주가가 나빠짐

 

4)수동부품

삼성전기, 아비코전자

DDR5에는 DDR4와 달리 PMIC가 추가 됨

 

5)메모리모듈/PCB

심텍: PCB 기판 생산기업하반기 스마트폰 5G 수요 증가 기대감, 자회사 그래픽스 성장 기대

DDR4 DDR5는 규격이 다르고 데이터 전송양의 차이가 크므로 D램 칩을 장착하는 PCB 기판이 바뀌어야 합니다. 또한 이 기판의 층 수가 증가하는 등 성능이 더욱 우수해져야하고, 칩을 부착하는 방식이 더욱 개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메모리반도체용 PCB업체들에게는 DDR5 전환이 수익성 향상의 기회가 될것


 


추가적으로 생각해야할 것들

Q. 가장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종목 골라내기

Q. 일시적 주가 상승인 만큼, 매수 매도시기 연구

Q. 하락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단기 실적 증가로 인한 주가 상승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참조

반도체 제조공정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ruthkg2&logNo=220828541894&parentCategoryNo=&categoryNo=11

DDR5관련 설명

https://m.blog.naver.com/inacien777/221766043065

DDR4전환시 업체별 주가동향

https://m.blog.naver.com/fractal1985/222016715334

엑시콘 분석

https://blog.naver.com/nurisd/221843494322

호돌이_반도체 전반

https://blog.naver.com/hodolry/221576235413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_8HwIHyVD1E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