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 투자기초
- 2020. 3. 1.
1.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의 정의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란 어려워보이지만 문자그대로 1주당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나타낸다.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 되는 EPS식은 아래와 같다.
Basic EPS = (당기순이익 – 우선주 배당금)/가중평균 유통 주식수 |
여기서 가중평균주식유통수란 유통주식수가 신주의 발행, 자기주식의 매입 등의 사유로 변경됬을때 일할 계산하여 나타낸 주식수
ex)1월 1일의 유통주식수는 100주였는데 7월 1일에 100주의 신주를 발행하여 유통시키기 시작했다면,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월할계산시 100주 x 6/12 + 200주 x 6/12 = 150주가 된다.
를 곱한 금액으로 계산되며, 주식회사의 근간이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실사례를 통한 예시
실제 EPS 계산한 예를 보겠습니다.
S-Oil의 2007년 손익계산서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https://sunnysky.tistory.com/)
에쓰-오일주식회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33(당) 기 |
|
Ⅰ. 매출액 |
|
15,218,720,293,016 |
1. 국내매출액 |
6,074,488,311,514 |
|
2. 수출액 |
9,144,231,981,502 |
|
Ⅱ. 매출원가(주석16) |
|
13,760,831,365,493 |
Ⅲ. 매출총이익 |
|
1,457,888,927,523 |
Ⅳ. 판매비와관리비(주석17) |
|
384,158,667,499 |
Ⅴ. 영업이익 |
|
1,073,730,260,024 |
Ⅵ. 영업외수익 |
|
397,583,464,586 |
1. 이자수익 |
158,470,674,099 |
|
2. 배당금수익 |
1,594,521,900 |
|
3. 외환차익 |
170,673,863,412 |
|
4. 외화환산이익(주석2) |
13,269,501,303 |
|
5. 지분법이익(주석5) |
437,514,005 |
|
6. 대손충당금환입 |
368,395,501 |
|
7. 유형자산처분이익 |
5,394,067,358 |
|
8. 기타영업외수익 |
47,374,927,008 |
|
Ⅶ. 영업외비용 |
|
439,376,832,540 |
1. 이자비용 |
158,269,388,996 |
|
2. 외환차손 |
176,345,681,593 |
|
3. 외화환산손실(주석2) |
36,529,178,208 |
|
4. 유형자산처분손실 |
792,921,552 |
|
5. 기타영업외비용 |
67,439,662,191 |
|
Ⅷ.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
1,031,936,892,070 |
Ⅸ. 법인세비용(주석2,20) |
|
285,441,203,952 |
Ⅹ. 당기순이익 |
|
746,495,688,118 |
XI. 주당손익(주석21) |
|
|
기본 및 희석화 주당순손익 |
|
7,042 |
맨 아랫쪽 주당손익 이라는 부분에 '기본 및 희석화 주당순손익'이라는 항목으로 7.042원이 나와 있습니다. 이 값이 나오는 과정을 보겠습니다.
주당순손익은 보통주 1주에 대한 당기순이익을 계산한 것으로 발행보통주식수에서 자기주식수를 차감한 유통보통주식수를 보유기간에 따라 가중평균하여 계산합니다.
(2007년 4월 30일 보유중인 자사주(보통주 31,983,586주)를 한진에너지(주)에 매각하였으므로 자기주식매각에 따른 유통주식수의 가중치가 246일입니다. 또한 112,582,792 주에서 매각한 31,983,586주를 뺀 나머지 80,599,206주의 가중치는 365일이 됩니다.)
|
구 분 |
주식수 |
가중치 |
적 수 |
|
당 기 |
4분기 |
기초 |
112,582,792 |
92 |
10,357,616,864 |
가중평균된 유통보통주식수: 10,357,616,864 ÷92 = 112,582,792 |
|||||
누 적 |
기초 |
80,599,206 |
365 |
29,418,710,190 |
|
자기주식매각 |
31,983,586 |
246 |
7,867,962,156 |
||
가중평균된 유통보통주식수: 37,286,672,346 ÷365 = 102,155,267 |
|||||
전 기 |
4분기 |
기초 |
80,599,206 |
92 |
7,415,126,952 |
계 |
80,599,206 |
92 |
7,415,126,952 |
||
가중평균된 유통보통주식수: 7,415,126,952 ÷92 = 80,599,206 |
|||||
누 적 |
기초 |
80,599,206 |
365 |
29,418,710,190 |
|
계 |
80,599,206 |
365 |
29,418,710,190 |
||
가중평균된 유통보통주식수: 29,418,710,190 ÷365 = 80,599,206 |
다음으로 당기순이익에서 우선주에 배당된 금액을 차감하여 보통주 순이익을 구합니다.
구 분 |
제33(당)기 |
제32(전)기 |
||
4분기 |
누 적 |
4분기 |
누 적 |
|
당기순이익 |
125,605,907,563 |
746,495,688,118 |
99,607,308,099 |
758,563,379,017 |
차감 : 우선주배당금 |
23,986,544 |
95,946,175 |
23,986,544 |
95,946,175 |
추가우선주지분 |
4,139,851,859 |
27,025,982,182 |
4,526,277,722 |
34,473,988,117 |
보통주순이익 |
121,442,069,160 |
719,373,759,761 |
95,057,043,833 |
723,993,444,725 |
EPS=719,373,759,761/102,155,267 =7.042
위의 두 값으로 주당 순이익을 구하면 7,042라는 값이 나옵니다.
구 분 |
제33(당)기 |
제32(전)기 |
||
4분기 |
누 적 |
4분기 |
누 적 |
|
보통주당기순이익 |
121,442,069,160 |
719,373,759,761 |
95,057,043,833 |
723,993,444,725 |
유통보통주식수 |
112,582,792 |
102,155,267 |
80,599,206 |
80,599,206 |
기본주당순이익 |
1,079 |
7,042 |
1,179 |
8,983 |
3. 희석 주당순이익(Diluted EPS)
조금더 보수적인 판단을 해야할때는 Diluted EPS(희석 EPS)를 사용한다.
Diluted EPS = (당기순이익 – 우선주 배당금 + 조정액)/(보통주 주식 수 + 잠재적 보통주 주식 수) |
4. 고찰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가중평균를 이용해서 EPS를 산출하는게 옳을까? 아니라고 생각한다.
기업이 연말에 갑자기 자사주 매각과 같은 일로 급격히 유통주식수를 풀어버리면 EPS는 소폭만 하락한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과거보다 현재의 주식수가 중요하기 때문에 오판단의 이유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서 가중평균을 이용하기 보다 기말 유통보통주식수를 이용하는것이 좀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EPS를 직접 구하지 않기때문에 유통주식수의 변화를 항상 사업보고서에서 확인하고 넘어가야한다.
끝으로 모두 알다시피 사실 EPS는 직접 구할 필요가 없다. 네이버 증권이나 HTS에서 볼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할줄 알고 보는것과 그냥 보는것은 차이가 크다고 생각한다.
또한 EPS는 그 자체로서는 투자에 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EPS는 기업의 주가는 반영하지 않기때문이다. 아무리 EPS가 높아도 가격이 비싸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찾고자 하는 기업은 돈을 잘벌지만 저렴한 회사이다. 이를 찾기 위해서는 가격을 포함한 지표가 필요하다. 그래서 PER를 사용한다. 다음 게시글에는 PER에 대해 포스팅해야곘다.
'투자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세금 총정리(거래세,배당세.양도세,종합소득세) (0) | 2020.03.15 |
---|---|
EV/EBITA (0) | 2020.03.12 |
[투자전략] 롱포지션, 숏포지션 (0) | 2020.03.03 |
주식거래시간 총정리(시간외거래,단일가매매) (0) | 2020.03.03 |
신용거래(Margin Trading) (0) | 2020.03.01 |